진고구마 공식 블로그

진로 고민에서 구재해줄 마니토

대학·편입

고등학교도 학점으로 졸업한다? 고교학점제 도입

진고구마 2022. 6. 3. 14:47

안녕하세요 진고구마 입니다! :D

여러분 혹시 고교학점제에 대해 알고 계시나요?

이제 고등학교도 대학교처럼 직접 시간표를 짜고 학점을 이수하여야 졸업이 가능하게 된다고 합니다!

오늘은 고교학점제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고교학점제?

고교학점제란!

학생들이 진로에 따라 다양한 과목을 선택, 이수하고

누적 학점이 기준에 도달할 경우 졸업을 인정받는 제도를 말합니다.

정해진 시간표에 따라 동일한 과목을 공부하는 교육체계에서 탈피하고

대학생처럼 자신의 흥미와 적성에 따라 시간표를 짤 수 있도록

선택권을 넓혀주기 위한 취지로 시행됩니다.


고교학점제는 언제부터 시작인가요?

고교학점제는 단계적으로 점차 도입이 시작되고 있습니다!

2020년 마이스터고에 우선 도입 후

2022년에는 특성화고.일반고 등에 부분 도입하고

2025년에는 전체 고교에 전면 시행됩니다!


고교학점제로 무엇이 달라지나요?

고교학점제가 도입되면서 고등학교 생활의 많은 부분이 달라질 것으로 예상되는데요!

2025년 이후 고교학점제를 전면 시행했을 때 어떤 부분이 달라지는지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고교학점제 달라지는 점

교사 중심의 학급별 시간표 -> 학생 개인별 수강신청에 따른 시간표

학생들은 개별 진로와 적성에 맞는 과목을 선택해 시간표를 짜고

그에 맞는 수업에 따라 교실을 옮겨 다니며 수업을 듣게 됩니다.

1학년 때는 공통과목(선택과목 수강 전 이수 과목)을 중심으로 수강하며

희망 진로와 연계된 학업 계획을 수립하고 2학년 때부터 본격적으로 선택과목을 수강하게 됩니다!

졸업요건 3년 2890시간 -> 192학점 2560시간

1학점은 50분짜리 수업 16회로 3년간 총 2560시간의 수업을 들어야 합니다

다만 1.2학년 때 수업을 몰아 듣고 3학년 때 적게 듣는 상황을 막기 위해

한 학기당 최소 28학점 이상 수강한다는 기준이 있습니다.

현재는 각 학년 수업 일수의 2/3 이상 출석하면 졸업이 가능하지만

2025년부터는 각 과목 출석률(2/3 이상)과 학업성취율(40%이상)을 모두 충족해야만

졸업이 가능합니다.

만약 최소 학업성취율에 도달하지 못할 경우에는 성적으로 I 즉, 미이수 처리되며

별도의 과제를 수행하거나 보충 이수를 통해 다시 학점을 취득해야 합니다!

상대평가 -> 공통과목은 A~E, I등급 및 석차등급 병기 모든 선택과목에 성취평가제

현재 보통교과 가운데 진로 선택과목에만 3단계(A~C)로 성취도만 표기하는 성취평가제를 적용하는데

2025년도부터는 일반·융합·진로등 모든 선택과목에 5단계로 성취도만 표기하게 됩니다.

다만, 국영수등 공통과목의 경우엔(A~E)와 함께 석차등급을 병기하도록 해 상대평가 요소가 유지됩니다.

* I등급 (Incomplete·미이수)


진로 고민 사연을 달아주신 고구마님께 시원한 답변을 도와드렸습니다!!

지금도 많은 고구마님들이 여러분의 도움을 필요로 하고 있습니다!!

작은 의견도 큰 위로가 될 수 있어요 누구나 고구마와 사이다가 될 수 있습니다!

진고구마에서 질문과 답변을 남겨 정보를 주고받고 포인트도 받아 가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