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고구마 공식 블로그

진로 고민에서 구재해줄 마니토

진로·학업

개발자는 대학이 중요할까? 아니면, 실력이 중요할까? (feat. 개발자 진로 고민과 IT취업)🔥

진고구마 2022. 7. 6. 12:57

안녕하세요 진고구마 입니다.😎

오늘도 어김없이 저희 진고구마 앱에 사연을 적어주신 분들의 고민을 전달드리고자 이렇게 포스팅을 합니닷!(저희 진고구마 앱은 익명으로 고민을 남길 수 있어서 너무나 편한 것 같아요!🔥) 자, 그럼 오늘은 진로에 대해 고민이 많은 남자분의 사연을 한번 들려드리겠습니다!


 
 

오늘의 진고구마 사연🔥

🍠2022년 07월 05일 오전에 올라온 사연입니다.🍠

  • 성별 : 남
  • 나이 : 26
  • 최종학력 : 고졸
  • 고민내용 :

현재 제 상황은 내신으로는 수시 대학교 지원을 못합니다.(인서울 기준) 고정지출 170만원은 나가고 있는 상황이고, 편집디자이너로 직장 3개월 다닌 이력이 있습니다. 현재 희망 기업 : 플랫폼 기업, 대기업 게임회사 (개발자) 그런데 솔직히 대기업 여러 채용공고를 봐도 학력무관 지원가능도 있지만 제가 볼 땐 대졸이 유리하고 저 같아도 인사 담당자면 대졸을 뽑을 것 같거든요..? 그래서 대졸은 어떻게서든 따야한다고 생각이 듭니다..여러분들의 생각은 어떠실까요..?


개발자는 대학이 중요할까?🔥

우선, 저희 진고구마의 주관적인 생각으로만 먼저 말씀을 드리면 '중요하지 않다' 입니다. 개발자는 '자기만의 레퍼런스, 경험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을 하고 있는데요. 그 유명한 '카카오 / 배민 / 당근' 등 개발자 인재채용 시에 코딩 실력을 가장 우선시 한답니다. 또한 개발을 통해 어떠한 이력을 가지고 있는지도 중요한 부분이 되기 때문에 코딩만 할 줄 안다고 해서 가만히 있는 것이 아닌, 나만의 레퍼런스를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죠.


개발자 레퍼런스가 중요한 이유🔥

첫번째로 설명 드릴 부분은 문제 해결능력 입니다. 여러분들이 처음으로 개발을 할 때 어떤 것을 많이 느끼시는지요!? 아마 수많은 벽에 부딪혔을 것이라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러면 시니어 개발자들은 조금 다를까요!? 전~혀 그렇지 않다는 것에 한표를 던집니다! 그들도 똑같이 벽에 부딪힙니다. 그리고 벽을 부수는 것이 좋은지, 벽을 돌아가는 것이 좋은지에 대해서도 똑.같.이 고민합니다. 이렇게 개발자들은 수많은 문제에 부딪히지만, 이 때 그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느냐에 따라서 달라집니다. 그래서 레퍼런스(즉, 경험)가 중요시 되는 것이죠.😎


두번째는 구현력 입니다. IT라는 것은 현실세계의 문제를 정보기술을 통해서 해결하는 기술입니다. 즉, 복잡한 현실 세상의 문제를 코드화 시켜야 하는 것이죠! 이 현실을 어떻게 추상화 시킬 것이며, 문제를 어떻게 정의할 것인가요? 물론, 기획자가 있어서 요구사항을 전부 정의해서 제공해줄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그것을 코드화 시킨는 것은 순수 개발자의 몫입니다. 어떻게 도메인의 복잡도를 줄이면서 유지보수가 쉬운, 응집성이 높은 코드를 만들것인지 연습하고 또 연습해야 합니다😢


세번째는 학습능력 입니다. IT 기술의 트렌드는 정말로 정말로 빠르죠. 5~10년 사이에 주도하는 기술 스택이 급격하게 변하고 있습니다. 또 기술의 패러다임도 빠르게 변하곤 합니다. 이런 환경에서 더 이상 학습하지 않는 다는 것은 도태되겠다는 의미이죠.. 혹은 예전 기술 스택을 쓰는 회사에 남아있어야만 합니다. IT시장은 급격하게 변하기 때문에 그만큼의 코딩언어도 많이 바뀌고 새로운 언어들도 나오곤 합니다. 기술들은 절대 무조건이라는 말이 없다는 말 아시죠? 트레이드 오프가 무조건 존재한답니다. 어떤게 좋은지 안 좋은지 알기 위해서는 반드시 공부(스터디)를 해야 합니다. 따라서 나에게 필요한 기술 스택을 어떻게 학습했었는가? 평소에 어떤식으로 공부를 하는가? 를 들어내주는 것이 좋습니다.🔥


개발자의 가장 큰 역량 팀워크🔥

의사소통능력과은 곧 팀워크로 적용이 되는데요. IT의 중요도가 높아지면서 비즈니스적 요구사항은 복잡해지고 거대해 지고 있습니다. 또한 팀원들도 많아지고 직업군 각각의 역할도 다양해지고 있습니다. 하다 못해 최소한 기획자, 개발자, 디자이너 이렇게 세 직군은 있습니다. 이 사람들과 어떤 식으로 의사 결정을 내릴 것인가, 혹은 개발자들끼리는 협업을 했을 때 의견 충돌을 어떻게 해결하나? 여러분들이 갈등을 해소하는 과정에서 어떤 기준에 따라서 결정을 해왔는지, 자신만의 의견을 관찰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의견을 수용했는지 드러내주시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오늘은 이렇게 개발자 진로에 관련해서 고민이 많으신 우리 진고구마 유저 고구마분의 사연을 한번 들어보고 중요한 부분에 있어서 말씀을 드려봤는데요! 아무쪼록 도움이 많이 돼셨으면 좋겠습니다! 오늘은 진고구마 4번째 이벤트 마지막 날이니 많은 참여를 부탁드리겠습니닷!🔥🔥🔥